본문 바로가기

저출산대책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안내 육아를 위해서 근로 시간을 단축할 경우, 근로 시간 단축 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 1) 남녀고용평등법에 근거하여,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받은 근로자 2)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 이상인 경우, 3) 만 8세 이하 or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 근로시간 단축 내용 근로시간 단축 기간: 1년간 (육아휴직 미사용 시, 최대 2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단축 후 근로시간, 최소 15시간 이상, 최대 35시간) 허용 근로 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감소 금액의 일부를 단축 개시일 기준하여 통상 임금으로 지원함 지원 금액 구간별 상이 (1구간+2구간) 1구간 : 근로시간 최초 5시간 단축의 경우 : 통상임금 100% (상한 200만 원) X (단축된 5시간 / 단축 .. 2023. 10. 23.
저출산 극복 주거지원 - 국토교통부 발표 (신생아 특례 구입자금 대출) 미국 금리 상승이 멈추지 않고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동결을 이어가고 있지만, 미국의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동결을 지속하지 못할 것이라 여겨지니, 주택담보대출을 떠올리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산을 앞두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는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지난 2023년 8월 29일 저출산극복을 위한 주거지원 방안을 내놓았는데요. 여러 내용 중에 출산가구 금융지원 강화 부분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신생아 특례 구입자금 대출 기존 신생아 특례 대출 가능 가구 소득 미혼, 일반 가정 소득 : 6천만원 이하 신혼 부부 가정 소득: 7찬만원 이하 출산 가구 소득: 1.3억원 이하 대상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내 .. 2023. 10. 17.
2023년-2024년 육아휴직 안내 (6+6 부모 육아 휴직제) 기존의 '3+3 부모 육아휴직제'를 '6+6 부모 육아 휴직제'로 개편되며 혜택이 확대되는 법령이 10월 6일 입법예고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르면 2024년 1월부터 생후 18개월 이내의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동시에 육아 휴직을 할 경우, 첫 6개월 동안 부모가 통상 수령하던 임금의 100%를 육아휴직 급여로 받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0. 육아 휴직 신청 대상 -. 육아 휴직을 30일 이상 받은 근로자 -. 고용보험 피보험단위 기간 180일 이상 (주5일 40시간 근무 시, 통상 7-8개월 이상 근무할 경우) 1. 신청 기간 -. 육아휴직 시작일 후 1개월 경과 후, 육아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 2. 기존 3+3 부모 육아 휴직제 변경 전, 후 및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 (현행), .. 2023. 10. 6.
신규 저출산 대책 소개 금번 발표된 신규 저출산 대책 네 가지를 소개합니다. 1. 육아휴직 기간 현행 육아휴직 유급 지원 기간은 1년입니다. 그러나 내년 하반기부터 최장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따라서 한 가정에 최장 3년까지 휴직이 가능합니다. 공동 육아를 권장하기 위해 부모가 모두 3개월 이상 육아 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기간이 연장됩니다. 육아휴직 유급 급여 기간, 28년 만에 12→18개월로 육아휴직 유급 급여 기간, 28년 만에 12→18개월로 2024년 예산안 맞돌봄 3개월이 전제 조건 신생아 특공 등 신생아 3종 특례도 마련 www.chosun.com 2. 공동 육아 인센티브 증가 부모가 모두 휴직할 경우, 육아휴직 급여에도 인센티브가 붙습니다. 통상 임금의 80%를 육아 휴직 기간에 수령할 수 있고, 상한액이.. 2023. 9. 8.